본문 바로가기
현장 이야기

동북아 외톨이 ‘한자 문맹’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15-10-28 11:24 조회893회 댓글0건

본문

[권순활의 시장과 자유]동북아 외톨이 ‘한자 문맹’

권순활논설위원 입력 2015-10-28 03:00:00 수정 2015-10-28 03:00:00

현재 중국에 약 6만 명, 일본에 1만5000명의 한국 젊은이들이 유학생활을 하고 있다. 낯설고 물선 땅에서 힘들게 공부하지만 기초 한자(漢字) 실력이 모자라 적응에 애를 먹는 유학생이 적지 않다. 정상적으로 학년이 올라가지 못하고 유급하는 학생도 있다. 미리 한자를 익혔다면 겪지 않았을 시간과 돈의 낭비, 정신적 고통이 만만찮다.

이근면 인사혁신처장은 얼마 전 신입 공무원들과의 간담회에서 충격적 경험을 했다. 이 처장이 “여러분은 국가의 기간을 이루는 인재”라고 말하자 참석한 모든 새내기 공무원들이 ‘중심이 되는 부분’이라는 뜻의 기간(基幹)을 기간(期間)으로 잘못 알아들었다. 한자어에서 유래된 단어가 많은 행정용어를 다루는 공무원들의 ‘한자 문맹(文盲)’은 행정효율을 현저히 떨어뜨릴 위험성이 높다. 중국 일본과의 경제 교류가 많은 산업계에서도 젊은 직원들의 한자 이해 능력이 낮아 골머리를 앓은 지가 꽤 오래됐다. 

고전하는 한국 젊은이들

 한국어 어휘 중 순수 우리 낱말을 제외한 한자어의 비중이 53%라는 주장도 있지만 대체로 70% 정도라는 견해가 우세하다. 과학 용어는 85%가 한자어다. 한자어에서 나온 어휘 중에는 발음은 같아도 뜻이 다른 단어가 적지 않다. 가령 ‘전력’이라는 단어는 戰力 電力 前歷 全力. ‘최고’라는 단어는 最高 最古 催告 등의 뜻이 모두 다르다. 한글로만 쓰면 명확한 의미 파악이 어렵다.

일본은 초중고교 교육과정에서 2136자의 상용한자를 가르친다. 일본도 표음(表音)문자인 히라가나와 가타카나가 있지만 한자교육은 일본어 교육의 필수 과정이어서 고교만 졸업하면 웬만한 한자는 능숙하게 구사한다. 한국도 중고교에서 1800자의 한자를 가르치고, 201 8년부터는 초등학교 3학년부터 한자교육을 시행할 계획이니 언뜻 보면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버젓한 대학을 나와 대기업이나 공무원 시험에 합격한 젊은이들도 ‘한자 문맹’이 즐비한 현실을 어떻게 봐야 하나.

한자 문맹은 어휘력의 빈곤화와 고급 지식의 전달 장애 외에 실용적인 면에서도 어두운 그늘을 드리운다. 한자를 사용하는 중국과 일본은 세계 2위와 3위의 경제대국이다. 인구도 중국 일본 대만 세 나라만 합쳐도 15억여 명으로 세계 전체 인구의 21%를 넘는다. 앞으로도 영어가 가장 핵심적인 국제어 자리를 차지하겠지만 중국어와 일본어의 바탕인 한자 역시 중요성이 더 커질 것이다. 한국 중국 일본의 한자가 다소 차이는 있지만 한국의 한자를 알면 중국과 일본에서 사용하는 한자를 배우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국수주의 언어관 벗어나야

 한글의 독창성과 우수성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다. 그러나 한글을 사랑한다고 해서 한국어의 일부가 된 한자어를 배척하는 것은 지나치게 국수주의적인 문자관이다. 조선 성종 때 대제학 서거정이 신라시대 이후 우리 선조들이 쓴 빼어난 시문(詩文)을 편찬한 동문선(東文選)은 한문이긴 하지만 전통문화와 자주적 성격이 뚜렷하다는 평을 듣는다. 서거정이 동문선 서문에서 ‘동방의 글은 송과 원의 글이 아니고 한과 당의 글도 아니며 바로 우리나라의 글’이라고 강조한 것은 지금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 

한국인이 모든 한자를 알 필요는 없지만 적어도 일상생활에 자주 사용되거나 한자 문화권과의 외교적, 경제적 교섭에 필요한 한자는 몸에 익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자 문맹이 늘어날수록 한국이 동북아시아와 지구촌에서 외톨이로 전락할 위험성은 그만큼 더 커진다.

권순활 논설위원 shkwon@donga.com



 

 
 
 

곽중철 (2015-12-24 15:10:26) 
 
[발언대] 중국식 漢字 교육, 더 미루면 안 된다
 조병수 신장병센터 조병수의원 원장
 입력 : 2015.12.24 03:00

우리나라와 중국은 점점 더 가까워지고 있다. 두 나라 간 FTA까지 발효되면서 이제 본격적인 중국과의 동반 시대가 열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필자는 학창 시절에 제2 외국어로 독일어를 배웠다. 어찌 보면 일제 문화의 잔존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강점기에 일본과 가장 가까우면서 국제적으로 강력했던 나라가 독일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에서는 현재도 독일어에서 유래한 외래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영어의 차트(chart)가 아닌, 독일어의 카르테(karte)를 사용하는 것 등이 그렇다.

요즈음 우리나라 젊은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제2 외국어가 중국어이다. 중국어 학원은 수강생이 넘쳐나고, 대학의 중국어 학과는 커트라인이 계속 올라가고 있다. 언젠가는 영어 이상의 필수 언어가 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해 한 가지 문제점을 얘기하고 싶다. 우리가 현재 신문이나 서적 등에서 사용하는 한자는 '대만식 한자'이다. 14억 중국 사람들이 사용하는 한자와는 많이 다르다. 그런데 이 '중국식 한자'가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보다 훨씬 간편하다. 좀 더 실용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문자 개혁을 통해 대대적으로 축약하고 정리한 이른바 간체(簡體)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 중국에 가서 그곳 젊은이들과 이야기하며 역사(歷史)를 우리 식, 즉 대만식 한자로 써주었더니 다들 신기하다는 듯 쳐다볼 뿐 무슨 단어인지 모르는 것 같았다. 우리도 어떤 외국인이 한글을 쓰는데 훈민정음에 나오는 고어(古語)와 고문자를 쓰고 있다면 얼마나 이상스러울까? 아마 그런 느낌을 가지고 나를 봤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중국 사람은 '歷史'를 '厂史'라고 간결하게 표현한다.

한자를 꽤 아는 기성세대도 중국어를 배울 때면 이 수많은 간체의 벽에 막혀 당황하곤 한다. 오랜 시간 우리가 써온 한자를 중국식으로 바꾸는 작업이 간단하진 않을 것이다. 확실한 것은 언어와 문자를 배우는 기본 목적은 '소통'에 있다는 점이다. 기왕 한자를 배우면서 대외적으로 사실상 소통이 불가능한 문자를 공부한다는 것은 바보 같은 일 아닌가. 물론 우리가 써온 한자를 갑자기 중국식으로 바꾼다면 기성세대들은 단순히 불편을 넘어 대혼란을 느낄지도 모른다. 하지만 2세대·3세대를 위해 우리가 기득권을 버려야 할 때가 아닌지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