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님 질문이 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ar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16-03-05 12:23 조회109,868회 댓글2건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교수님.
저는 대학원 번역과정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공부 방법에 대해 질문이 세 가지 있는데요,,
게시물을 죽 읽어보면서 교수님이 달아주신 댓글들을 보니 "잘 이해한 글을 통암기하면 된다"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이해"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사실 저는 완벽주의이고 호기심이 많아서 모르는게 나오면 내용 파악을 위한 어휘 뿐 아니라 꼬리에 꼬리를 물어 그 이면의 뜻, 그 기사의 정치/문화적 배경, 고유명사까지 검색합니다. 사실 저는 이렇게 뭔가 하나씩 알게 되는 게 참 좋긴 한데 입시대비로 하는 공부를 이렇게 학문적(?)으로 파고드는게 맞는지가 고민입니다. 이렇게 공부를 하면 오래동안 기억에는 남지만 너무나 지치고 공부하는 양이 아주 적습니다.
1. "이해"의 기준이 글의 모든 단어 뜻의 용법을 완벽히 알아 각 문장을 문장구역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인지요? 아니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그냥 흐름으로 유추해서 알면 넘어가고, 진짜 꼭 알아야만 하는 단어만 찾아서 내용을 파악하고 각 문단의 내용, 전체 글의 주제/메시지/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인지요?
2. 그리고 더불어, 우리말로는 말하다 이지만, 영어로는 talk, say, tell, express, mention 등 다양하기 때문에 뉘앙스 파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 요약의 경우 지문에 나오는 어휘를 쓰면 안되서 동의어를 많이 아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영영사전을 이용하는데요,, 번역을 하려면 거기에 맞는 우리말 뜻도 알아야 되잖아요,, 그래서 영영사전과 영한사전 다 이용해서 표현을 정리하고 하는데 이렇게 하는게 느리지만 바른 방법이 맞는지요?
3. 위의 방법처럼 하다가 너무 지쳐서 중요한 단어면 나중에 또 나오겠지, 그냥 많은 문장을 접하자라는 생각으로, 요즘에는 그냥 단어나 예문을 정리안하고 그냥 문장이나 글을 통째로 외우고 있긴 한데,, 지금 제대로 하고 있는게 맞는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대학원 번역과정 입학을 희망하는 학생입니다.
공부 방법에 대해 질문이 세 가지 있는데요,,
게시물을 죽 읽어보면서 교수님이 달아주신 댓글들을 보니 "잘 이해한 글을 통암기하면 된다"가 핵심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 "이해"의 기준이 궁금합니다.
사실 저는 완벽주의이고 호기심이 많아서 모르는게 나오면 내용 파악을 위한 어휘 뿐 아니라 꼬리에 꼬리를 물어 그 이면의 뜻, 그 기사의 정치/문화적 배경, 고유명사까지 검색합니다. 사실 저는 이렇게 뭔가 하나씩 알게 되는 게 참 좋긴 한데 입시대비로 하는 공부를 이렇게 학문적(?)으로 파고드는게 맞는지가 고민입니다. 이렇게 공부를 하면 오래동안 기억에는 남지만 너무나 지치고 공부하는 양이 아주 적습니다.
1. "이해"의 기준이 글의 모든 단어 뜻의 용법을 완벽히 알아 각 문장을 문장구역할 수 있는 정도의 수준인지요? 아니면 모르는 단어가 나와도 그냥 흐름으로 유추해서 알면 넘어가고, 진짜 꼭 알아야만 하는 단어만 찾아서 내용을 파악하고 각 문단의 내용, 전체 글의 주제/메시지/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정도인지요?
2. 그리고 더불어, 우리말로는 말하다 이지만, 영어로는 talk, say, tell, express, mention 등 다양하기 때문에 뉘앙스 파악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또 요약의 경우 지문에 나오는 어휘를 쓰면 안되서 동의어를 많이 아는게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영영사전을 이용하는데요,, 번역을 하려면 거기에 맞는 우리말 뜻도 알아야 되잖아요,, 그래서 영영사전과 영한사전 다 이용해서 표현을 정리하고 하는데 이렇게 하는게 느리지만 바른 방법이 맞는지요?
3. 위의 방법처럼 하다가 너무 지쳐서 중요한 단어면 나중에 또 나오겠지, 그냥 많은 문장을 접하자라는 생각으로, 요즘에는 그냥 단어나 예문을 정리안하고 그냥 문장이나 글을 통째로 외우고 있긴 한데,, 지금 제대로 하고 있는게 맞는지 궁금하여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