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 이야기

반기문-라이스 회견 '통역' 문제 또 구설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05-07-14 10:52 조회3,585회 댓글0건

본문

반기문-라이스 회견 '통역' 문제 또 구설수

 서울=연합뉴스

 입력 : 2005.07.13 17:17 04' / 수정 : 2005.07.13 17:41 04'


“통역문제 해결은 미 국무부의 영원한 숙제다”
12일 오후 방한한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반기문(潘基文) 외교통상부 장관과 합동 기자회견을 가진 13일 오전 외교부 브리핑룸.



▲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과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이 13일 오전 세종로 외교통상부 청사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우리정부의 중대제안 대해 북한의 에너지 해결을 위한 좋은 해결책 이라고 말하고 있다. /사진기자단

40여분간의 회견 직후 국내 기자들이 대거 ’통역의 문제점’을 제기, 미 대사관 관계자들이 이를 무마하는 등 한바탕 소란이 일었다. 지난해 10월 콜린 파월 장관 방한과 올 3월 라이스 장관 방한시에 제기된 ’통역 파동’이 또 재현된 것이다.

회견 참석자들은 이구동성으로 “지난 3월 방문시에는 통역 준비나 진행상에서 어처구니 없는 실수들이 많았지만 오늘은 단순히 진행상의 실수가 아니라 내용상 부분적인 오역이나 누락 등이 많았다”고 지적했다.

한 국내 언론인은 “처음 팔레스타인 ’당국(authority)’을 ’권위’로, ’비핵화 선언’을 ’비핵화 동맹’으로 옮길 때만해도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지만 이후 라이스 장관 발언을 다 옮기지 않거나 중요한 부분을 누락해 몹시 당황스러웠다”고 말했다.

라이스 장관 발언과 통역 내용을 비교해보면 이런 주장이 사실임이 드러난다.

라이스 장관은 “우리는 북한의 회담 복귀는 아주 좋은 스텝이지만 단지 첫 스텝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했으며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전략적 결단을 내리길 고대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통역 내용은 “북한은 6자회담에 다시 나온게 된 것은 첫 걸음이지만, 그것은 가장 중요한 것은 전략적 결정을 하느냐라는 문제”라고 되어 있다.

또 ’한반도 안보상황 개선을 위한 공동 노력이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점에 우리는 낙관한다’를 ’함께 공동으로 노력해 한반도의 보안을 위해서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그리고 긍정적 결과를 낳기를 바라겠다’로 통역하기도 했다.

지난 3월에도 반-라이스 공동 회견에서 ’통역 문제’에 대한 원성이 높았다. 당시에도 반 장관과 라이스 장관이 각자 통역을 대동했는데 두 사람 모두 질의 응답시 첫 질문자로 나선 한 기자의 ’일본의 유엔 안보리 진출에 대한 미국의 지지 발언 배경’을 묻는 질문 내용을 전달하지 못해 회견장에는 약 10여초간 무거운 침묵이 흘렀다. 이렇게 되자 사회를 맡았던 외교부 공보관이 부랴부랴 질의 요지를 적어 통역에게 전달하는 촌극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날 통역은 또 외신기자의 ’EU의 대중 무기금수 철회 움직임에 대한 미국 입장’을 묻는 질문 내용은 통역하지 않은 채 라이스 장관 답변만 옮겨 흐름을 따라 잡지 못한 기자들이 우왕좌왕하는 해프닝도 벌어졌다.

지난 1월 중순 주한 미 대사관 공보실에서 열린 커트 웰던 미 하원 군사위 부위원장 일행의 방북 보고 회견에서도 참석자들이 대거 ’통역 서비스’ 문제점을 제기했다. 당시 통역을 맡은 국무부 소속의 김 모씨는 여러 차례 특정 부분에서 목소리가 작아지거나 우물우물하는 바람에 내용이 잘 들리지 않았다는 불평이 많았다.

수 개월 전에도 국내 한 언론은 국무부 소속의 한 통역사가 “2001년 3월 김대중 대통령과 조지 부시 대통령의 워싱턴 정상회담시, 또 지난해 10월 파월 국무장관 방한 당시 부분적인 오역으로 물의를 일으킨 바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미 정부 관계자는 이같은 일련의 ’통역 파동’과 관련,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국무부는 통역사로 계약한 사람만을 국무장관 통역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어려움이 있다”는 말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음을 시사하기도 했다.

통역 파문과 관련한 라이스 장관의 ’급한 성격’ 문제도 지적됐다. 라이스 장관은 3월 회견시에도 “발언 뒤 통역이 이어지는 순차통역임에도 불구, 수 차례 발언을 계속하다가 ”오, 미안해요“라며 통역에게 사인을 보내기도 했다. 그는 13일 회견에서도 통역이 끝나기 전 발언을 시작하고 발언 내용도 다소 길어 정확한 통역을 서비스하는데 어려움이 적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곽중철 (2005-07-29 08:25:49) 
 
지난 7월 13-22일 미국방문 도중 위 기사를 접한 저는 국무부 측 통역사가 누구였는지 무척 궁금했습니다. 그래서 학교 통역센터 직원에게 인터넷에 뜬 동영상을 저장하라고 했고, 어제서야 그 일부를 보았습니다. 통역사는 지난 번 노 대통령이 백악관에 갔을 때 부시를 통역한 이은경씨였습니다.
저와 함께 통대 1기로 입학해 파리 에지트에서 2년을 수료하고 도미한 여성임은 이미 밝힌 바 있습니다.
지난 백악관의 약식 기자회견에서는 드러나지 않았던 그의 제1외국어, 즉 한국어의 허점이 서울에서의 대규모 공식 기자회견에서는 <무대공포증>과 겹쳐 여실히 드러난 것입니다.
그는 통대 시절에도 한국어때문에 고민이 많았는데 오랜 미국 생활로 더 약화되어 있었습니다. 통역사 생활을 접고 있었으니 당연하지요. 이제 미 국무부는 은퇴한 김동현 씨 후임으로 이은경씨를 발탁한 모양인데 이번 구설수로 그가 사의를 표명할 지, "한국어를 다시 연습해 더 잘 해보겠다"고 할 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외교 의전 상 미국 측이 영한 통역을, 한국 측이 한영 통역을 제공해야하니 그의 영어 실력은 드러나지 않고, 한국어의 약점만 보이는 겁니다. 머리 좋은 라이스의 발언은 전문 통역사라도 정신 바짝 차리지 않으면 다 잡을 수 없을 정도로 빨랐습니다.
미 국무부가 <미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통역사로 쓴다>는 원칙을 버리고 <전문 통역사를 쓸 수도 있다>의 예외를 만들지 않으면 언제든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사건입니다.
워싱턴에서 국제안보를 공부하고 있는 21기 이용하 씨를 쓸 수만 있다면 깨끗이 해결될 문제라 한미 요로에 이를 건의해 볼 생각입니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