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 이야기

스페인어 통·번역가 유혜경 씨와의 만남(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04-03-29 00:00 조회3,714회 댓글0건

본문

대학/학과/학년 : 대구가톨릭대 스페인어과 4년
 국내 스페인어 통·번역가 유혜경 씨와의 만남

 희망을 쫓아 열심히 살아가는 우리 이웃을 만나 그들의 삶을 통해 독자들에게 또 다른 희망을 전하고자 기획한 인터뷰 전문 코너『People to People』. 그 첫 시간으로 지난 3월 23일 스페인어 통·번역가 유혜경(45) 씨를 찾아가 만나봤다.

▶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했는데, 번역가의 길을 가게 된 남다른 사연이 있나?
- 대학을 졸업하고 곧 바로 결혼을 했어요. 남편이 클래식기타 전공자라 스페인을 따라 간 거고, 스페인에 가서는 스페인어를 안 하면 살아갈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스페인어를 공부했고, 공부를 하면서 정말 스페인어를 잘 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고 생각했어요. 그러면서 돌파구를 찾은 게 언어를 통해서 저의 정체성을 한 번 찾아보자 생각하고 굉장히 열심히 했어요.

▶ 번역가적 기질을 스스로 타고났다고 생각하나?
- 처음에는 제가 타고났다고 생각했어요.(웃음) 왜냐하면 첫 작품이 굉장히 대중적인 작가가 다니엘 스틸의 작품이었고 쉬웠어요. 로맨스 소설이었는데, 그 소설을 번역하면서 난 정말 타고났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날이 갈수록 그 환상을 깨게 됐지요. 그래서 지금은 번역가는 타고나는 게 아니라 노력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라고 철저하게 믿고있어요. 자기가 가지고 있는 상식이나 언어적인 지식을 가지고 번역을 하려고 덤벼들다가는 큰코다친다는 거죠. 그리고 절대로 그렇게 번역을 해서도 안 되구요.

▶ 원서를 우리말로 옮기는 과정에는 번안과 번역 사이의 갈등은 항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 아닌가?
- 번역학에서 얘기할 때는 사실 번역이 의역이다, 직역이다, 아니면 번안이다 이런 식의 구분은 하지 않구요. 번역이란 무엇이고 근본적으로 어떻게 번역을 하느냐에 맞춰서 얘기를 해야 할 것 같아요. 똑같은 매뉴얼이라도 사내용이냐 아니면 소비자용이냐에 따라 전혀 달라지듯이 독자의 대상이나 범위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이 번역이다 그렇게 얘기를 해야지 번안이냐 번역이냐의 차원은 아닌 것 같아요.

▶ 번역은 반역이다란 이탈리아 속담에 대해서는 어떻게 해석하고 있나?
- 저는 두 가지로 보는데요. 우선 번역은 반역이다라는 말이 나온 자체가 번역 자체를 비하시키려는 의도가 있다고 보구요. 또 하나는 그 동안 번역을 너무 못한 거죠. 번역에 종사한 사람들이 번역을 너무 엉터리로 해서 이런 말이 나온 거라고 봐요.

▶ 번역물 선정 기준은?
- 처음에는 제가 선택할 수 있는 게 아니었기 때문에 무작정 다 했구요. 이제는 제가 출판사에서 선택을 당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작품이 좋고 제 스케줄과 맞으면 무조건 하죠. 요즈음은 스케줄상 원작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보고 시작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우선 출판사를 보고 다음에 작가의 필력을 보고 선택을 하지요.

▶ 스스로 소화해내기 힘든 부분은 어떻게 해결하나?
- 한 작품을 번역할 때 초기부분은 상당히 어렵고 모르는 부분이 많이 나오는데 작품에 완전히 빠져서 몇 달을 살다보면 마무리 할 때쯤에 가서는 해결이 되죠. 예전에 개미를 번역한 이세욱 번역 작가는 실제로 원작자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해결을 봤다고 얘기를 들었거든요. 참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어요.

▶ 한 작품 번역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 보통 2달을 넘기지 않지요. 한 달만에 끝내는 경우도 있고... 이런 경우에는 중간에 딴 생각하고, 인터넷 검색하는 거 빼고 물리적으로 번역하는 시간만 하루에 10시간 이상 투자하는 거죠. 하루에 15시간을 앉아 있을 때도 있어요. 원래 이 정도는 아니었는데 직업적으로 변한 거죠.

▶ 특별히 기억에 남는 번역 작품이 있다면?
- 매번 한 작품이 끝나면 그 과정은 힘들지만 감동을 받곤 하는데 그래도 아주 특별하게 제가 감동을 받은 작품은 최근에 번역한 더 블루 베어(The blue bear)라고 하는 작품이 예요. 이 작품이 인상 깊었던 것은 제가 번역해 본 것 중 가장 어려웠던 작품이거든요. 더 블루 베어(The blue bear)같은 경우는 저자가 원래 알래스카 탐험가이드예요. 자기 배를 갖고 가이드를 하는데 아주 오지만 다니는 그런 가이드예요. 가이드로서의 평생 경험과 그 경험을 통해 얻게 된 지식들을 글로 쓴 거죠. 만일 저자가 백과사전을 통해서 얻은 지식으로 글을 썼다면 저도 백과사전을 통해서 번역을 하면 굉장히 쉽거든요. 근데 이거는 저자가 백과 사전적인 지식이 아니라 자기가 자연을 통해서 얻은 지식과 백과사전을 통해서 얻은 지식이 한 데 어우러져서 나온 표현인 거예요. 그래서 굉장히 어려웠어요.

▶ 끝으로 번역가를 꿈꾸는 대학생들에게 한 마디
- 저는 번역작업을 운전하는 거 하고 많이 비교해요. 번역이 뭔지를 잘 알고 하는 사람하고 잘 모르고 하는 사람은 운전을 할 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이 길을 안내하는 것과 똑같다는 거지요. 그래서 번역에 대해서 정말 제대로 공부를 한 다음에 번역도 분명히 하나의 전문 분야라는 것을 인식한 다음 시작하고, 모든 일의 공통점은 성실하게 하면 모두가 다 잘 할 수 있다는 거예요. 더 이상의 정도는 없다고 생각해요.

번역가 유혜경은 현재 한국외국어대 통역번역대학원 연구소 연구원과 동 대학원 BK21 전문용어팀 상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며, 2004년 신학기부터 대구가톨릭대 스페인어과에 출강 중이다. 주요 번역서로는 ≪내 일생의 단 한번≫, ≪개를 살까 결혼을 할까≫, ≪해부학자≫, ≪우리는 살아있는 한 절망하지 않는다≫, ≪절망의 끝은 시작이다≫, ≪세익스피어의 매니지먼트≫, ≪패튼의 리더쉽≫ 외 다수가 있다.

글=심지훈(대구가톨릭대 스페인어과 4년), 사진=박기옥(대구가톨릭대 신문방송학과 4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