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모음

지명 영문표기 기준, 유엔권고와 상충 안한다

매체명 : 한겨레신문   /   보도일자 : 15-08-26

본문

[왜냐면] 지명 영문표기 기준, 유엔권고와 상충 안한다 / 곽중철
 등록 :2015-08-26 18:40
‘지명 영문표기, 유엔정책 따라야’에 대한 반론
‘지명 영문표기, 유엔정책 따라야’를 읽고 반론을 편다. 이 글은 현재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서 지명 표기 규정이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게 되어 있는 상황에서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영문표기 지침(안)이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더 맞지 않게 되어 지명의 분류어 지위를 영어에 양보하고 우리말 분류어를 사라지게 하고 있다고 했다.
첫째,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Hangang이 고유어,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되는데 고유어 자리의 Hangang은 고유어 Han과 또 하나의 분류어 gang을 포함해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Hangang River에서 분류어가 이중이라고 하려면 ‘강(gang)’이 무슨 뜻인지 안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모든 외국인이 Han이 고유어이고 gang이 분류어임을 알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우리 지명의 영어표기 목적은 우리말 지명을 보존하면서도 외국인들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한강(Hangang River), 경복궁(Gyeongbokgung Palace) 표기에 쓰인 River와 Palace는 그것이 어떤 성격의 장소인지 간략한 설명을 덧붙인 것이다.
둘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하면, 한글로 역변환 시 한강강으로 되어 원천어 한강으로 복원되지 못해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의 구조적 오류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러나 굳이 우리 지명을 영문 표기만을 기준으로 역변환하는 경우를 고려해야 할까? 어떤 표기방식이든 Hangang River를 “한강강”으로 변환하듯 기계적으로 다른 언어로 변환할 수는 없다. 그래도 역변환의 경우를 고려한다면 설명어 해당 부분만 삭제하면 쉽게 역변환할 수 있다.
Han River와 같이 분류어 해당 부분을 생략할 경우 더 많은 문제가 일어난다. 우리 지명에는 한강이나 남산 등 고유어와 분류어가 일대일로 단순 연결되는 경우만 있는 게 아니다. 예로, ‘~대(臺)’가 들어간 지명 중 “탄금대”는 하안단구이고, “수승대”는 너른 바위이며, “경포대”는 누각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누정의 이름에는 “광한루”, “송강정”과 같이 주로 ‘~루(樓)’와 ‘~정(亭)’이 쓰인다. 한강을 Han River로 표기한다면, “경포대”는 “Gyeongpo Pavilion”이 되고, “송강정”은 “Songgang Pavilion”이 된다. 또 영문 표기만 보고 원래의 국문 이름을 복원하기는 더 어렵다.
셋째, 유엔지명전문가그룹(UNGEGN)에서 중국에서는 西平山(시핑산)을 Xiping Mountain 혹은 Xiping Shan으로, 일본에서는 富士山(후지산)을 Fuji San으로, 東京灣(도쿄완)을 Tokyo Wan으로 표기하기로 했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엔에서도 국가마다 표기방법이 다름을 인식하고, 각국의 지도 지명표기 지침을 제출하도록 했다고 한다. 현재 43개국이 제출한 지침을 보면 지도상 표기에 관한 국제 원칙은 ‘속성 부분을 번역하지 않고 모두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재청이나 국립국어원의 영문표기 지침을 보면 Gyeongbokgung Palace, Hangang River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도로표지판이나 지도 등 용처의 특성에 따라 속성 번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현재 기준은 국내 사용 현황과도 맞고 유엔 권고안과도 상충하지 않는다.
곽중철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댓글목록

곽중철님의 댓글

곽중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왜냐면] 지명 영문표기 기준, 유엔권고와 상충 안한다 / 곽중철
 등록 :2015-08-26 18:40
‘지명 영문표기, 유엔정책 따라야’에 대한 반론
‘지명 영문표기, 유엔정책 따라야’를 읽고 반론을 편다. 이 글은 현재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서 지명 표기 규정이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게 되어 있는 상황에서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표한 영문표기 지침(안)이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더 맞지 않게 되어 지명의 분류어 지위를 영어에 양보하고 우리말 분류어를 사라지게 하고 있다고 했다.
첫째,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Hangang이 고유어,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되는데 고유어 자리의 Hangang은 고유어 Han과 또 하나의 분류어 gang을 포함해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나 Hangang River에서 분류어가 이중이라고 하려면 ‘강(gang)’이 무슨 뜻인지 안다는 전제가 있어야 한다. 모든 외국인이 Han이 고유어이고 gang이 분류어임을 알 것이라고 기대하기는 어렵다. 우리 지명의 영어표기 목적은 우리말 지명을 보존하면서도 외국인들의 이해를 돕는 것이다. 한강(Hangang River), 경복궁(Gyeongbokgung Palace) 표기에 쓰인 River와 Palace는 그것이 어떤 성격의 장소인지 간략한 설명을 덧붙인 것이다.
둘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하면, 한글로 역변환 시 한강강으로 되어 원천어 한강으로 복원되지 못해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의 구조적 오류를 의미한다고 했다. 그러나 굳이 우리 지명을 영문 표기만을 기준으로 역변환하는 경우를 고려해야 할까? 어떤 표기방식이든 Hangang River를 “한강강”으로 변환하듯 기계적으로 다른 언어로 변환할 수는 없다. 그래도 역변환의 경우를 고려한다면 설명어 해당 부분만 삭제하면 쉽게 역변환할 수 있다.
Han River와 같이 분류어 해당 부분을 생략할 경우 더 많은 문제가 일어난다. 우리 지명에는 한강이나 남산 등 고유어와 분류어가 일대일로 단순 연결되는 경우만 있는 게 아니다. 예로, ‘~대(臺)’가 들어간 지명 중 “탄금대”는 하안단구이고, “수승대”는 너른 바위이며, “경포대”는 누각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누정의 이름에는 “광한루”, “송강정”과 같이 주로 ‘~루(樓)’와 ‘~정(亭)’이 쓰인다. 한강을 Han River로 표기한다면, “경포대”는 “Gyeongpo Pavilion”이 되고, “송강정”은 “Songgang Pavilion”이 된다. 또 영문 표기만 보고 원래의 국문 이름을 복원하기는 더 어렵다.
셋째, 유엔지명전문가그룹(UNGEGN)에서 중국에서는 西平山(시핑산)을 Xiping Mountain 혹은 Xiping Shan으로, 일본에서는 富士山(후지산)을 Fuji San으로, 東京灣(도쿄완)을 Tokyo Wan으로 표기하기로 했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유엔에서도 국가마다 표기방법이 다름을 인식하고, 각국의 지도 지명표기 지침을 제출하도록 했다고 한다. 현재 43개국이 제출한 지침을 보면 지도상 표기에 관한 국제 원칙은 ‘속성 부분을 번역하지 않고 모두 로마자로 표기하는 것’이다. 그런데 문화재청이나 국립국어원의 영문표기 지침을 보면 Gyeongbokgung Palace, Hangang River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도로표지판이나 지도 등 용처의 특성에 따라 속성 번역에 해당하는 부분을 생략할 수 있도록 했다. 따라서 현재 기준은 국내 사용 현황과도 맞고 유엔 권고안과도 상충하지 않는다.
곽중철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곽중철님의 댓글

곽중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시론] 지명 영문표기, 유엔정책 따라야 / 김선일
수정 2015-08-05 18:41등록 2015-08-05 18:41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도로표지, 문화재 안내, 지도 등에 표기하는 지명(geographical names) 등에 관한 영문표기 지침(안)을 발표하였다. 정부의 관계 부처 간에 합의한 내용을 가지고 올해 안에 문체부 훈령으로 제정할 예정이다. 한강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Hangang River로 쓰라는 것이다.
현재 국어의 로마자표기법에서는 지명에 대한 로마자표기 규정이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게 되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체부에서는 지명의 영문표기를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더 맞지 않게 함으로써, 지명의 분류어 지위를 영어에 양보하고 우리말 분류어를 사라지게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지명은 문자화된 지리정보의 코드이다.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따르면 Hudson River(허드슨 리버), Church Street(처치 스트리트)와 같은 지명은 고유명(proper names)으로서, 고유어(specific)+분류어(generic, classifier)로 구성된 복합어로 본다. Hudson River에서 Hudson은 고유어이고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된다. 그러면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살펴보자.
첫째, 한강을 Hangang River라고 표기하면 고유명 양식에 따라 Hangang이 고유어, River는 분류어로 분석된다. 그런데 고유어 자리에 있는 Hangang은 고유어 Han과 또 하나의 분류어 gang을 포함하고 있다. 지명에 이중으로 분류어를 포함하고 있으니 이러한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은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에 맞지 않는다.
둘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변환한다면, 변환된 것을 한글로 역변환할 때는 한강강으로 되어 원천어 한강으로 복원되지 못한다. 이것은 이중 분류어 영문표기 방식이 구조적 오류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한강을 Hangang River로 표기하면 gang이 River에 밀려서 분류어 자리에 못 가고 고유어 자리에 있게 된다. gang은 한 개체의 고유어 Han과 결합한 Hangang으로 고유어 자리를 차지하게 되어 분류어로서 역할을 못한다. 이렇게 우리말 분류어 gang(강), san(산) 등이 개체의 고유어 생성재료로만 사용되고 고유명의 분류어 체제를 갖추지 못하면 우리말 분류어는 세계어에서 사라질 것이다.
유엔지명전문가그룹(UNGEGN)에서는 지명표준화정책을 주도하는데, 중국에서는 西平山(시핑산)을 Xiping Mountain 혹은 Xiping Shan으로 표기하기로 하였고, 일본에서는 富士山(후지산)을 Fuji San으로, 東京灣(도쿄완)을 Tokyo Wan으로 표기하기로 하였다.
우리도 영문법과 지명표준화정책에 맞춰서 Han Gang(공식 지명) 혹은 Han River로 표기하기를 제안한다. 관광이나 문화재 안내용으로는 Han Gang/River로 하면 유용하다. Han이 고유어이고 Gang/River가 분류어인데 Gang의 번역어가 River라는 뜻이다. 그리고 한강을 의미별, 음절별로 띄어서 Han Gang으로 표기하면 Hangang보다 더 구분하여 의미를 파악하기 쉽고, 우리말에 가깝게 발음할 것이다.
고유명은 문자화된 정보코드이지 설명문이 아니다. 고유명 영문표기에서 분류어를 이중으로 표기하여 영문법과 국제적 양식, 국제주소표준(UPU S42)에도 어긋나지 않기를 바란다. 우리말 분류어 Gang(강), San(산)도 Jiang, River, Rivier나 Shan, Mountain, Mont 등과 같이 고유명의 분류어 체제를 갖추어 세계어 속에서 언어적 지위를 갖게 되기를 바란다.
김선일 과실연 집행위원·부경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