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사모음

고유명사 英文 표기 외국인의 이해를 돕는 게 목적

매체명 : 조선일보   /   보도일자 : 15-07-24

본문

[조선일보를 읽고] 고유명사 英文 표기 외국인의 이해를 돕는 게 목적

곽중철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교수
 조선일보: 2015.07.24 03:00


 "고유명사 英文 표기 원칙 좀 더 신중해야" 글(7월 10일 오피니언면)을 읽고, 그 원칙을 세우는 데 지난 2010년부터 참여해온 사람으로 이해를 돕고자 반론을 편다. 관련 위원들은 약 5년 전 시작된 추진 과정에서부터 수많은 공청회와 토론회와 회의를 열고 문제점이 드러날 때마다 수정에 수정을 거듭했다.

이번에 문체부가 내놓은 통일안에서 문화재명을 로마자(음역)+속성(의미역) 번역으로 한 것은 외국인에게 우리말 이름을 알리는 동시에 외국인의 이해를 도모코자 한 것이다. '한강'을 'Hangang'으로만 번역하면 우리말을 모르는 외국인은 강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없다. 2015년 3월 문체부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한 것이 외국인에게 우리 문화의 작명을 맡긴 격이라고 하나, 이 사업은 영문 표기의 주 사용자인 외국인의 이해를 돕는 것이 목적이므로 그들의 선호도를 반영해 통일안을 정한 것은 타당하다.

외국에서도 자국 문화재나 자연 지명을 영문으로 표기할 때 고유어 이름에 속성 번역을 덧붙인 사례가 많다. 일본에서는 '東大寺(동대사)'를 'Todaiji Temple(도다이지 절)', '荒川(황천)'을 'Arakawa River (아라카와 강)'로 쓰고 있다.

속성 번역을 사족이라고 하는 것은 한국어를 아는 사람들만 그렇고, 외국인 대부분은 속성 번역을 통해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폭을 넓힐 수 있다. 괄호 안에 속성을 표시하면 속성 표시가 아니라 전체 로마자 표기 부분의 별칭이나 다른 이름으로 오해할 소지가 있다. 영미권에서 괄호는 매우 제한적으로 쓴다.

지난 5년간 이 작업에 동참하면서 느낀 것은 한국어 명칭을 영어로 옮기는 데 모두가 동의하는 정답이 없다는 것이다. 최선책이 없다면 차선책에 만족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더 강국이 되어 한국어를 아는 외국인이 늘어나면 '한강'은 'Hangang'으로, '경복궁'은 'Gyeongbokgung'으로 통일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