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보 번역 잘못 왜?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08-05-31 11:27 조회3,131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ㆍ미 쇠고기 협상 관보 번역 잘못 왜?
전문지식 부족한 통역사와 언어지식없는 관리 합작품
곽중철 한국외대 통역대학원 교수
한ㆍ미 쇠고기 협상이 국민 분노를 사게 된 한 배경에는 정부의 어처구니없는 '관보 오역 해프닝'도 한몫했다. 정부가 'unless'(~하지 않는다면)를 'even though'(~할지라도)로 해석하면서 미국 측 조치와는 정반대로 "30개월 미만 소도 사료 사용을 금지한다"고 이해했던 것이다.
통ㆍ번역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역'에 대해 통ㆍ번역계 권위자인 곽중철 한국외국어대 통번역대학원 교수에게 물었다. 관보 오역 사건 원인에 대해 곽 교수는 "한마디로 전문 지식이 부족한 번역사와 언어 지식이 부족한 관리가 만들어낸 합작품"이라며 "이 분야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은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하다"고 말했다.
그는 "계약서 일부가 관보에 실렸는데, 특히 계약서 영어는 전문적인 영역을 다룬 것이기 때문에 통역사라 하더라도 쉽게 번역해 내긴 어렵다"며 "계약서 등 문장은 법률 전문가들이 문외한들이 쉽게 해석하지 못하도록 고의로 복잡하게 만드는 '함정'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협상 과정에서 우리 측 통역사가 관련 전문 용어 등은 미국 측 통역사 도움을 받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그는 이 같은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협상에 투입될 수 있는 전문성 갖춘 통역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곽 교수는 "정부 부처는 1~2년 단위로 통역사와 계약을 하는데, 임금이 한 달에 200만~300만원 선이기 때문에 통역사들은 정부에서 잠깐 일하고 처우가 좋은 곳으로 이동한다"고 전했다.
낮은 임금으로 필요할 때만 채용하는 현 정부 체계 아래서는 다른 나라와 협상하는 과정을 '문제 없이' 소화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통역 인재를 키우기 어렵다는 얘기다.
업계에서 영어 능력을 인정받는 통역 인력은 100~200명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들에게 통역을 맡기는 비용은 높을 수밖에 없다. 이 틈을 타 '영어를 조금 한다'는 사람들이 싼값으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섰다. 이는 질보다는 가격을 통역사 선택 기준으로 삼는 기업체 성향과 더해져 통역계에서 '암시장'이 형성돼 왔다. 곽 교수는 " '싼' 통역만 찾는 사회 인식 속에서 생겨난 결과"라며 "사회가 통역에 대한 의식이 성숙해져 통역사 질을 식별할 수 있게 되면 암시장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원 기자 / 사진 = 이충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지식 부족한 통역사와 언어지식없는 관리 합작품
곽중철 한국외대 통역대학원 교수
한ㆍ미 쇠고기 협상이 국민 분노를 사게 된 한 배경에는 정부의 어처구니없는 '관보 오역 해프닝'도 한몫했다. 정부가 'unless'(~하지 않는다면)를 'even though'(~할지라도)로 해석하면서 미국 측 조치와는 정반대로 "30개월 미만 소도 사료 사용을 금지한다"고 이해했던 것이다.
통ㆍ번역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역'에 대해 통ㆍ번역계 권위자인 곽중철 한국외국어대 통번역대학원 교수에게 물었다. 관보 오역 사건 원인에 대해 곽 교수는 "한마디로 전문 지식이 부족한 번역사와 언어 지식이 부족한 관리가 만들어낸 합작품"이라며 "이 분야에 정통하지 않은 사람은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하다"고 말했다.
그는 "계약서 일부가 관보에 실렸는데, 특히 계약서 영어는 전문적인 영역을 다룬 것이기 때문에 통역사라 하더라도 쉽게 번역해 내긴 어렵다"며 "계약서 등 문장은 법률 전문가들이 문외한들이 쉽게 해석하지 못하도록 고의로 복잡하게 만드는 '함정'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협상 과정에서 우리 측 통역사가 관련 전문 용어 등은 미국 측 통역사 도움을 받았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그는 이 같은 과오를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 협상에 투입될 수 있는 전문성 갖춘 통역 인재 육성을 강조했다. 곽 교수는 "정부 부처는 1~2년 단위로 통역사와 계약을 하는데, 임금이 한 달에 200만~300만원 선이기 때문에 통역사들은 정부에서 잠깐 일하고 처우가 좋은 곳으로 이동한다"고 전했다.
낮은 임금으로 필요할 때만 채용하는 현 정부 체계 아래서는 다른 나라와 협상하는 과정을 '문제 없이' 소화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춘 통역 인재를 키우기 어렵다는 얘기다.
업계에서 영어 능력을 인정받는 통역 인력은 100~200명 정도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들에게 통역을 맡기는 비용은 높을 수밖에 없다. 이 틈을 타 '영어를 조금 한다'는 사람들이 싼값으로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섰다. 이는 질보다는 가격을 통역사 선택 기준으로 삼는 기업체 성향과 더해져 통역계에서 '암시장'이 형성돼 왔다. 곽 교수는 " '싼' 통역만 찾는 사회 인식 속에서 생겨난 결과"라며 "사회가 통역에 대한 의식이 성숙해져 통역사 질을 식별할 수 있게 되면 암시장은 없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원 기자 / 사진 = 이충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