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유게시판

ESIT 프랑스 3대학 통번역대학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8-10 21:28 조회7회 댓글0건

본문

Salle 7 (쌀르 쎄뜨)란 불어로 <7호 교실>이라는 말로 ESIT의 입구에 있는 약 50평 크기의 제일 큰 교실이다. 2001년 별세한, 20여년 에지트 원장을 역임한 그의 이름을 붙여 Danica Seleskovitch Hall로 불리고 있다.

 

그 건물이 옛 NATO 본부여서 Salle 7는 기존 동시통역 부스 3개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이 방은 특히 입학 초부터 졸업까지에지트의 통역학부 학장이 통역부 학생 100명 전체를 모아 놓고 통역을 강의했던 교실이다.

 

당시 학장은 Christopher Thiery라는 나보다 큰 프랑스인 교수로 영어와 불어의 Bilingual이었는데 2년동안 통역입문 과정부터 동시통역까지 가르치면서 날카로운 비평으로 악명높았다그 시간만 되면 모든 학생이 공포에 떨었다당시 모국어인 한국어를 인정받지 못하고 불어를 영어로 순차 통역하는 C-B 통역으로만 평가받아야 하는 별난 학생(Special-case student)이었던 나도 그 수업에 참석해 몇 달에 한 번쯤 통역 평가를 받았다학기말이 가까워 오면 ㄷ자 모양으로 배치된 책상들 중앙에 통역자 책상과 걸상을 놓아 거기에 앉혀 놓고 수강생 100명 환시리에 통역을 시켰기에 무대 공포증은 더 컸다졸업시험 한달 전 나를 지명해 중간 좌석에서 그가 읽어준 캐나다 연사의 불어 연설을 죽을 힘 다해 영어로 통역했더니 수강생들의 의견을 물은 후 “그냥 잘한 게 아니라 매우 잘했다. 귀하가 그렇게 발전할 줄은 몰랐다졸업시험 잘 쳐라고 격려해 준 교실이다. 

졸업시험날, 당일 합격자 발표를 한 후 티에리 학장은 나를 끌어 안으며 My colleague! 동업자여 축하한다고 외쳤다! 

            

 

나는 1983 6 13일 동시통역 졸업시험 장소이기도 한 이 교실 맨 오른쪽 부스에 홀로 앉아 티에리 학장을 비롯한 파리의 내로라하는 4명의 현직통역사 시험관 앞에서 한영 동시 졸업시험 (제목전두환 대통령 아프리카 순방 출국성명)을 쳤고, 20점 만점에 18점을 받아 총 3개 시험 평균 16점으로 천신만고 끝에 졸업할 수 있었다기적같은 결과였다그날 밤 고향에서는 어머니가 “폭포수 밑에서 꺼지지 않는 촛불” 꿈을 꾸셨다고 했다.


 

2005 6세계통대협회(CIUTI) 총회 참석 차 파리에 갔을 때 첫 회의에서 내가 <한국의 통번역 시장>을 소개한 것도 바로 이 교실이었고총회 기념 학술 대회에서 <한국의 TV 통역>이란 주제 발표를 한 것도 이 교실이었다특히 발표 때는 1983 6월 같이 졸업한 에지트 통역부 학장 Clare Donovan이 좌장을 맡아 나를 소개해 주었다.


 

22년만에 한국 대표 자격으로 처음으로 참석한 CIUTI 총회 장소가 이 교실이었고그 기념으로 열린 학술대회의 워크샵 4개 중 내가 주제발표를 한 통역관련 워크샵 장소가 또 이 교실이었고그 좌장이 나와 동기생이라는 사실이 꼭 우연 같지는 않았다.


 

현장에서 이 설명을 들은 역시 에지트 번역반 졸업생인 이화여대 통대 최미경 교수는 고개를 끄덕이며 <일종의 숙명(fatality)>이라고 해석했다과연 그런 숙명이란 것이 있을까? 22년 만에 들어가 본 제7 강의실은 조금 작아보였다. 끝.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