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윤종을 추모함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곽중철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10-26 14:01 조회2,730회 댓글1건관련링크
본문
지난 2024년 7월 4일 목요일 새벽 두시 반 경, 잠은 안 오고 싱가폴에 있다는 모윤종이 생각이 자꾸 나 다음과 같이 그와의 추억을 써내려 갔다. 그 글은 지금도 내 홈피에 올라있다(www.jckwak.com, 자유게시판)
모윤종은 초등학교부터 친구였다. 경대사대부국을 같이 나와 그는 대구 중학을 나왔지만 경북고에서 다시 만나 우정을 쌓았다. 그와의 우정이 특별한 것은 대학 4학년 때 휘경동에서 자취를 같이 했기 때문이다. 그의 서울공대 기숙사는 공릉동, 내가 다니던 외대는 이문동에 있어 자주 만났는데 3학년 2학기 때 새삼스레 나를 찾아왔다. 4학년이 되면 같이 자취를 하자는 것이었다. 곧 서울에서 대학을 다닐 내 친동생과 함께 같이 하자는 다소 엉뚱하고 놀라운 제안이었다. 하숙비가 비싸니 생활비도 줄일 겸 3인의 하숙비로 충분히 잘 살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러자고 어렵지 않게 합의를 하고 그의 계획을 들어보니 우선 두 학교의 중간지점인 휘경동 쯤에 자취방을 구하고 입식 생활을 위해 침대 3개는 서울 공대 기숙사의 목수아저씨께 부탁해 나무 침대를 만들어 오겠다는 것이었다. 침대뿐 아니라 자취방 계약 등 모든 일을 거의 윤종이 다했다. 내가 3학년 1학기부터 학군 ROTC에 입단해 바쁜 가운데 서강대 전자 공학과에 합격한 내 동생을 특히 귀여워 했음 인 지 그는 자취 준비에 신이 나 있었다.
외대와 경희대 중간에 있는 2층 상가의 2층에 맥주를 팔던 술집이 비어 계약을 했던 모양인데 쥐가 출몰하는 건 둘째 치고, 첫 문제는 침대에서 터졌다. 공대 기숙사에서 실비로 만들어온 침대의 길이가 모두 180 cm였던 것이다. 윤종의 키는 165? 내 동생의 키는 175였는데 내 키가 180에 가까워 내게는 침대 길이가 안 맞는 것이었다. 할 수 없이 그 때부터 나는 잔뜩 움츠리고 잠을 잘 수밖에 없었다. 이 침대 스토리는 자취방에 놀러 오는 모든 친구들에게 윤종의 무모함을 폭로하는 주제가 되기에 충분했다.
그렇게 꿈처럼 1년 간의 자취 경험을 끝내고 나는 군대로 내 동생은 서강대 가까운 신촌 하숙집으로 옮겨가 동거 기간은 끝났다. 그 젊고 꽃 같던 시절 1년 동안 우리 세 사람은 어떤 이유에서든 한 번도 다툰 적이 없었다. 놀라운 일이 아닌가? 그 후 나는 군 장교 생활에 이어 어공(어쩌다 공무원)의 길을 걸었고, 그는 졸업 후 현대 자동차에 입사해 기업인의 길을 걸었기에 더 이상 자주 만날 수는 없었다. 그는 같은 기업인의 길을 간 정은택, 박문규와 친해져 나는 질투심도 느꼈지만 어쩌랴, 다 갈 길이 따로 있었던 것을 어쩔 수 없었다. 군에서 휴가를 나오면 그의 약혼녀인 박주향 여사와 함께 만나 삼계탕을 먹기도 했다. 그는 처음에는 주향 씨가 친척누나라고 구라를 치기도 했다.
내가 파리 유학을 떠난다고 했을 때 "왜 하필이면 통역 공부냐"고 질책을 했고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개포동 주공 단지에 살게 되었을 때, 그와 박문규, 정은택도 근처에 살고 있어 가끔씩 교류했는데 주말에는 그의 잘 생긴 두 아들을 만나기도 했다.
아는 친구는 다 알지만 그는 작은 거인 (a little giant: 모순어법oxymoron)이었다. 모든 이에게 작은 덩치에 어울리지 않는 리더십과 포용력을 보여주었다. 외대 영어과의 서울 친구들도 그에게 빠져 "모상, 모상"하면서 그를 찾았다. 그는 또 작은 한량(閑良)이었다. 기타를 치며 노래도 잘했다. 남의 일팔 번 노래도 잘 기억해 노래방에 가면 “니 잘하는 그 X나게 슬픈 노래를 해보라”고 김상배의 [몇 미터 앞에 두고]를 신청하기도 했다. 술 한잔 하고 나면 옛 시조에서 “다정도 병인 양하야 잠 못 들어 하노라”(고려 말 문인 이조년 작)를 인용하고는 흐뭇해 했다. 영어에도 조예가 있어 “I miss you”는 “네가 그립다”는 뜻이라고 번데기 앞에 주름을 잡기도 했다.
서로 바빠 자주 못 만나다가 1999년 내가 모교 교수로 가게 됐을 때 그는 특유의 오지랖으로 나를 도와준 교수들을 불러 한 요정에서 거하게 만찬을 베풀기도 했는데 나는 충분히 고맙다는 말도 못한 체 8년 전 20일팔 년에 교수직을 퇴임했다. 다시 감사의 말을 올린다.
작년에 통화했을 때 건강과 쾌유를 빌자 그는 “이건 낫는 병이 아니다”라고 쓸쓸히 했던 말이 아직도 기억난다. 쾌유는 아니더라도 "오래 살아 자주 만나자. 노래방도 같이 가고" 라고 했는데…
PS: 하늘도 무심하시지, 나와 특히 친했던 허상, 영우, 윤종 등을 먼저 불러 가신 이유가 야속할 뿐이다.
댓글목록
장명섭님의 댓글
장명섭 이름으로 검색 작성일
인생칠십고래희(人生七十古來稀), 종심(從心)을 지나 떠올리는 20대 앳된 홍안의 우정.
언 땅 속에 차갑지만 보드라운 봄흙 같은 20대. 풋풋함 속의 곰삭은 인정과 의리.
세월은 마술사처럼 얼굴에 주름도 긋고 흰 머리도 그려도 지나온 세월 자국 위에 더
또렷해지는 옛 기억. 한 편의 연극인가, 한바탕 꿈인가!
이 가을이 가고 다시 와도 새롭기도 하고 그립기도 한 것은 언젠가는 영영
두 번 다시 맞이하지 못할 날이, 순명(順命) 순천(順天)하는 날이 반드시 오기 때문이리라..
친구는 떠나도 우정은 남는다.
**옛날 역관은 시인이요 문장가였는데 곽중철 교수님의 이야기는 한 편의 수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