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필
곽중철 교수 소개
저서 및 논문
기사모음
자료실
강의자료
학사자료
사진으로 보는 통역
추억의 앨범
통/번역인 진로상담
현장이야기
게시판
자유게시판
Q&A
관련사이트
자유게시판
Q&A
자유게시판 글답변
이름
필수
비밀번호
필수
이메일
홈페이지
제목
필수
내용
필수
웹에디터 시작
> > > 외국기업 "언어는 영원한 숙제" > > §언어는 영원한 숙제§ > > 주한 외국 기업들이 언어 문제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 > 다국적 기업의 공용어는 영어. 대부분의 직원들이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데 큰 불편을 느끼지는 않지만 아무래도 모국어가 아닌 이상 전문적인 토론이나 문서 작성에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 > 특히 일본 기업은 일본 임원진이나 본사와의 의사소통 수단이 일본어여서 여차직하면 영어ㆍ한국어ㆍ일본어 3개 국어를 모두 사용해야 한다. > > 일본 기업들은 이 때문에 언어 장벽을 넘어서기 위해 한자를 최대한 활용한다. 문서에 사용되는 단어를 가능한 모두 한자로 표기하는 것. > > 한국후지제록스, 도레이새한은 한자 활용을 통해 서류작업의 번거로움을 줄이고 있다. 문제는 신세대 직원들. 한자가 익숙치 않아 불평이 많을 수 밖에 없다. > > 문서처리문제는 어떻게든 해결하지만 말이 필요한 회의시간은 장시간이 필요할 수 밖에 없다. > > 도레이새한은 일본 임원이 참석하는 회의에 비서가 동행해 통역을 한다. > > 나쇼날파나소닉은 아예 일본어로 회의가 이루어진다. > > 영어로 모든 것이 통용되는 기업도 직원들의 일반적인 커뮤니케이션에는 큰 불편을 못 느끼지만 전문적인 문서를 작성하거나 논리적으로 의견을 피력해야 하는 회의장에서는 벙어리 냉가슴을 앓는 경우가 허다하다. > > 독일계인 BMW코리아의 김영은 부장은 "한국 직원들이 논리적인 영어로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지 못해 무능력한 것처럼 비쳐지는 경우를 보면 너무 안타깝다"고 말했다. > > 또 영어로 보고서를 작성하는 경우에도 시간적인 손실이 많다는 것이 외국 기업인들의 설명이다. 미국계 기업의 한 직원은 "한국어로 된 실적 자료를 본사에 보내기 위해 영어로 번역하면서 몇일밤을 잠 한숨 못자고 꼬박 버텨야 했던 경험이 있다"며 "외부 번역기관에 맡기고 싶지만 전문 용어가 많아 오역을 피하기가 쉽지않아 스스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고충을 털어놨다. > > 한국후지제록스의 윤도용 차장은 "일본 본사의 경우 사내 문서를 영어로 작성하는 전문 인력을 배치해 놓고 있다"고 실토했다. > > 최원정기자 baobab@sed.co.kr > 한국i.com > >
웹 에디터 끝
링크 #1
링크 #2
자동등록방지
자동등록방지
숫자음성듣기
새로고침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취소